본문 바로가기
상담스킬UP

직업심리검사 이해과정 _ 직업심리검사의 이해

by level 올리기록 2024. 4. 4.
반응형

직업심리검사

 

< 한국고용노동교육원> _ 직업심리검사 이해과정

 

고용부/워크넷 직업심리검사는 신뢰도, 타당도가 확보된 과학적인 검사

 

Ⅰ. 직업심리검사의 이해

1. 심리검사의 특성

1) 심리검사 정의 및 의의

- 심리검사란, 흥미, 성격, 능력, 태도 등의 개인적 심리적 속성을 질적 혹은 양적으로 측정, 평가하는 조직적 절차임.

- 심리검사는 알아보려는 심리특성을 대표하는 행동진술문을 표집해 놓은 측정도구

- 심리적 현상에서의 개인차를 비교하고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심리학적 측정과정

- 직업상담 또는 직무 관련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을 수량화 시킬 수 있는 양적 검사를 주로 활용하며, 심리검사는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실시함.

 

 

2. 심리검사의 특징

첫째, 심리검사는 표준화된 절차를 가지고 있다.

- 표준화된 절차: 검사시간, 검사실시, 검사채점 등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됨

-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검사가 개발되면 측정 및 채점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검사의 편차를 줄일 수 있음

- 관찰된 검사결과의 차이, 즉 점수차이가 수검자의 독특성이랑는 개인차를 정확하게 반영하게 되어, 여러 사람에게서 관찰된 점수들의 상호비교가 가능해짐

 

둘째, 심리검사는 간접적으로 측정됨

- 지능, 태도 등과 같은 조작적인 정의에 의해 개념화되고 이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적 속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행동표본을 추출하여 측정함

- 이때, 검사에서 측정하려는 행동표본이 얼마나 전체 행동을 잘 대표하는지 주의해야 함.

 

셋째, 심리검사는 객관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

- 객관적이라는 의미는 모든 사람에게 같은 규칙을 적용하여 채점하는 것임

- 한 개인의 반응을 여러 사람이 채점하여 수량화 하더라도 언제나 동일한 점수가 계산되어야 한다는 것임

- 피검자들이 동일한 반응을 했어도 채점규칙이 정확하지 않아서 개인마다 점수차가 크다면 그 검사는 올바른 검사라고 할 수 없음.

 

 

3. 심리검사의 목적

- 이해: 개인의 적성, 개성 발견, 타인의 이해 높임

- 예측: 여러 가지 결정 시 미래에 대한 예측 자료로 활용함

- 선발: 학교나 공공기관에서 사람을 선발할 때 개인 간 차이를 제시함

- 진단: 개인의 기본 특성들의 본질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함

- 검증: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함

 

4. 심리검사의 분류

* 인지적 검사(능력검사)

- 지능검사, 적성검사, 성취검사, 학력검사 등

- 극대수행검사, 문항에 정답이 있고, 응답시간에 제한이 있음

- 수검자의 최대한의 능력발휘를 요구하는 검사

 

* 정의적 검사(성격검사)

- 성격검사, 흥미검사, 태도검사: 직업선호도검사 중 성격검사, MBTI검사, 흥미검사, 직무만족도 검사 등

- 습관적 수행검사이며, 문항에 정답이 없고 응답시간의 제한이 없음

- 수검자의 최대한의 정직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임

 

5. 심리검사의 양호도

* 신뢰도

- 검사실시를 통해 얻어진 검사결과가 얼마나 믿을만한가?

- 믿을만하다=누가 수행하든, 동일한 검사를 여러 번 수행하였을 때 일관성 있게 검사결과가 도출되는 것

- 신뢰도 분석 종류: 검사-재검사 신뢰도, 동형검사 신뢰도, 반분신뢰도, 내적합치도

  ㆍ검사-재검사 신뢰도: 동일한 검사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실시할 때, 서로 다른 시점에서 얼마나 일관성 있게 반응하는지 알아봄

  ㆍ동형검사 신뢰도: 연구자가 개발한 검사와 검사문항은 다르나 동일한 지식이나 특성을 측정하는 동형검사 개발하고, 두 검사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검사 신뢰도 확인함

  ㆍ반분신뢰도: 하나의 검사를 두 개의 반분 검사로 나눠서 마치 두 개의 동형검사를 실시한 것과 같이 취급함(홀수, 짝수문항)

  ㆍ문항내적합치도: 한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 각각의 반응의 일치도를 확인함

 

* 타당도

- 검사가 측정하는 바를 제대로 측정하는가?

- 새로운 흥미검사를 개발하였을 때, 그 검사가 흥미라는 특성을 잘 측정하고 있는지? 혹은 흥미와 무관한 다른 특성을 측정하는가?

- 타당도 분석 종류: 안면타당도, 내용타당도, 구성타당도, 준거타당도

  ㆍ내용타당도: 검사문항의 내용을 전문가가 검토함.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?

  ㆍ구성타당도: 이론적 구성개념이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정도 검증. 심리검사에서 측정되는 대상은 모두 추상적 개념, 즉 구성개념이므로 심리검사가 심리적 구성개념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 평가해야 함.

  ㆍ 준거타당도: 심리검사점수와 준거점수 관련성 분석. 준거점수는 미래의 행동이나 다른 검사의 점수(수능~수학능력시험 등)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